기초 수어

학교에서 자주 쓰는 수어 표현 25가지 : 선생님, 시험 등 교육 수어 실전편

new-story0620 2025. 7. 4. 14:16

수어는 일상에서만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청각장애 학생들이 다니는 특수학교뿐만 아니라, 일반 통합교육 환경에서도 수어는 점점 더 중요한 소통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교실이라는 공간에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님, 혹은 친구들 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이러한 학교생활 속에서는 단순한 인사나 가족 소개와는 다르게 학습과 관련된 전문 표현, 상황 중심 대화, 교육 목적의 지시어들이 함께 필요합니다.

교육 수어 실전


예를 들어, “선생님께 질문해도 돼요?”, “오늘 시험 봤어요”, “숙제 잊었어요”와 같은 표현은 실제 학교 수어 생활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나 입문자들은 이처럼 교육 현장에서 쓰이는 수어 표현들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배워야 할지 몰라 막막함을 느끼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실과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자주 사용되는 교육 수어 표현 25가지를 상황별로 분류하여 정리했습니다.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사, 부모, 특수교육 관련자 모두에게 유익합니다.

학교 구성과 사람을 나타내는 수어 표현

학교에서는 다양한 인물과 공간이 등장합니다. 이들을 수어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본 대화가 가능해집니다. 다음은 학교 구성원과 공간을 표현하는 기본 수어입니다.

 

학교
두 손을 펴서 손바닥이 마주보게 한 뒤, 가슴 앞에서 위아래로 두 번 가볍게 움직입니다. 공간성과 반복성을 함께 나타냅니다.

 

선생님
한 손을 펴서 이마 옆에 대고, 정면으로 손을 당긴 후 손바닥을 펴며 인사하듯 표현합니다. 존경과 안내의 이미지를 담고 있습니다.

 

학생
한 손을 책상처럼 펴고, 다른 손으로 ‘쓰는 동작’을 하며 공부하는 사람을 나타냅니다.

 

교실
‘학교’ 표현 후, 두 손으로 공간을 네모 모양으로 그리면 교실이 됩니다.

 

친구
양 주먹을 위아래로 교차시키며 친구 간의 연결과 관계를 나타냅니다. 기본적인 관계 수어로 자주 등장합니다.

 

선배 / 후배
한 손을 이마 위로 올려 앞쪽을 가리키면 ‘선배’, 아래쪽으로 가리키면 ‘후배’가 됩니다. 방향성과 높낮이 차이로 구별합니다.

 

담임 선생님
‘선생님’ 수어 후에 손가락으로 자신의 몸을 가리키는 동작을 덧붙입니다. 자신을 중심으로 한 고정된 교사라는 개념이 담겨 있습니다.

 

급우 / 반 친구
‘친구’ 표현 후, 양손으로 원을 그리며 특정 공간(반)을 나타냅니다.

 

교장선생님
‘선생님’ 표현을 한 후, 머리 위에 손을 얹거나 고개를 살짝 숙이며 존칭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학교 관리자 / 교직원
‘학교’ + ‘사람’ 조합을 사용하며, 상대가 누구인지에 따라 직책에 맞는 동작을 추가합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교실 속에서 누구와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자주 사용되며, 상대의 직책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업, 공부, 시험 관련 수어 표현과 실전 문장 활용

교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표현들은 대부분 학습과 관련된 단어들입니다. 수업 시간, 숙제, 시험, 칠판, 질문, 대답 등 다양한 상황이 빠르게 오가기 때문에 짧지만 정확한 수어 표현을 익혀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공부하다
손바닥을 편 후, 다른 손의 주먹으로 펴진 손 위를 두드리는 동작으로 표현합니다. 집중의 느낌을 담고 있습니다.

 

책 / 공책 / 노트
손을 펼쳐 두 장 넘기듯 움직이며 책을 나타냅니다. 손가락 간격과 움직임으로 책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쓰다
한 손을 편 채, 다른 손으로 펜을 쥐는 동작을 흉내 내며 표현합니다.

 

읽다
검지와 중지를 눈 앞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며, 눈으로 글자를 읽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질문
검지로 ‘물음표’를 그리듯 움직이며, 의문을 표현하는 표정이 함께 동반되어야 의미가 살아납니다.

 

대답하다
손을 입 쪽에서 밖으로 펴며 내미는 동작을 사용합니다. 말로 대답하는 행동을 상징합니다.

 

시험 / 평가
양손으로 ‘시험지’를 잡는 듯한 동작을 하며, 가볍게 펴거나 접는 동작을 추가합니다.

 

숙제
한 손으로 종이를 넘기는 동작 후, 다른 손으로 가볍게 ‘기록’하는 행동을 표현합니다. 학생에게 과제가 주어지는 상황을 상징합니다.

 

외우다
손을 머리 쪽에 대고, 움켜쥐는 듯한 동작으로 기억을 붙잡는 이미지를 연출합니다.

 

틀리다 / 맞다
‘틀리다’는 손을 X자 모양으로 교차시키고, ‘맞다’는 손바닥을 마주치며 OK의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표현들을 문장으로 확장해 사용하면 더욱 실전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예시를 통해 익혀보겠습니다.

  • “선생님, 질문 있어요.” → 선생님 / 나 / 질문 / 있다
  • “오늘 시험 봤어요. 좀 어려웠어요.” → 오늘 / 시험 / 보다 / 어렵다
  • “숙제 못 했어요. 죄송합니다.” → 숙제 / 안 하다 / 죄송하다
  • “저는 공부하는 걸 좋아해요.” → 나 / 공부 / 좋아하다

수업 상황에서의 수어는 짧지만 정확해야 하며, 의미 중심 단어만 연결하는 수어 문장 구조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교 수어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히는 학습법과 팁

학교에서 자주 쓰이는 수어 표현은 종류도 많고, 사용 빈도도 높기 때문에 반복 학습과 상황 연상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학습자가 교육 수어 표현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돕는 실전 학습법입니다.

 

교실 환경을 수어로 시뮬레이션하기
실제 교실을 떠올리며, “선생님 오셨어요”, “수업 시작해요”, “칠판 봐요” 같은 문장을 수어로 표현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공간 인지와 동작 순서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교과서 문장을 수어로 바꿔보기
사회, 과학, 국어 등 교과서 속 문장을 골라 수어로 바꿔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문장을 단어 단위로 쪼개고, 의미 있는 단어만 수어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효과적입니다.

 

학생 역할극 대화 연습
친구나 동료와 함께 학생 역할을 나누고, 질문-대답 구조의 대화를 수어로 주고받는 연습을 해보세요. 예: “공책 있어요?”, “이 문제 어려워요.”, “다음 시간에 뭐 배워요?”

이처럼 반복적인 상황극은 실제 수업 환경에서의 긴장감을 줄여줍니다.

 

학습 루틴 만들기
매일 아침 또는 자기 전, ‘오늘 수업 정리 수어 브리핑’을 해보세요. “오늘 공부한 것: 역사, 영어. 숙제 있음. 시험 없음.”
이런 간단한 수어 일상 루틴은 기억력 향상과 표현 능력 향상에 모두 도움이 됩니다.

 

실제 학교 수어 영상 따라 하기
국가수어센터, 특수학교 유튜브 채널 등에서는 수업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수어 표현들이 영상으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실제 교실에서 쓰이는 속도와 표정, 동작 흐름을 파악하기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학교 수어 표현은 특히 집중력, 반복력, 상황 연상력이 필요합니다. 단어 외우기에만 집중하면 실전에서 응용이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문장으로 구성하여 대화 흐름 속에서 연습하는 방식이 추천됩니다.

 

수어로 배우는 학교생활은 모두의 교육을 향한 길

수어는 청각장애 학생만을 위한 언어가 아닙니다. 이제는 누구나 학교에서, 교실에서, 공부하며 함께 쓰는 공동의 커뮤니케이션 언어입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25가지 표현은 교실 속에서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실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선생님 질문 있어요”, “숙제 했어요”, “오늘 시험 어려웠어요” 같은 짧은 표현 하나로도 학습자의 의사와 감정이 손끝으로 정확히 전달될 수 있습니다.
학교는 지식을 배우는 공간이자, 표현을 통해 성장하는 장소입니다. 수어를 통해 학교 생활이 더욱 풍부해지고, 누구나 소외되지 않고 함께 배울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가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