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3

실종, 길 잃음, 유괴 위험 상황에서 사용하는 수어 표현 : 보호 요청, 위치 설명, 위험 신호, 낯선 사람 경계까지

실종, 길 잃어버림, 납치 위험 등은 청각장애인, 수어 사용자, 아동, 고령층에게 특히 위험한 상황입니다.도움을 요청하거나 자신의 신원을 밝히거나 주변 상황을 설명할 수 없다면 의도와 상관없이 더욱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청각장애인 아동이 가족과 떨어졌을 때 수어를 할 줄 모르는 성인이 “이 아이가 말이 없어요”라고 말하고 넘길 경우, 실종이 길어지고 유괴 상황으로까지 번질 수 있습니다.또한 성인 수어 사용자도 낯선 지역에서 길을 잃거나 위협적인 인물이 접근해 올 때 즉각적인 보호 요청과 신원 설명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상황에서 필요한 것은 ‘도와주세요’ 하나가 아닙니다. “여기가 낯설어요”, “가족과 떨어졌어요”, “지금 무서워요”, “저 사람 낯설어요” 같은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위험 경계..

기초 수어 2025.07.11

재난·응급·경찰 출동 상황에서 꼭 알아야 할 수어 표현 : 신고 요청, 사고 설명, 몸 상태 표현, 통역 요청까지

일상생활 중 언제든 예기치 못한 위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재, 교통사고, 폭행, 실종, 낙상, 구조 요청, 갑작스러운 통증 등 다양한 유형의 사건·사고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간결한 의사 표현이 중요합니다.하지만 음성 중심의 구조 속에서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는 자신의 상태나 상황을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위기 상황에서는 음성보다 시각적인 의사표현과 비언어 정보 전달 능력이 더 중요해집니다. 이럴 때 수어는 단순히 말을 대신하는 수단이 아니라 상황 판단을 유도하고, 구조 요청을 가능하게 하며, 정확한 대응을 유도하는 실질적인 구조 언어가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일반적인 병원 진료나 교통 안내에서 다루지 않았던 재난, 경찰, 긴급 구조, 범죄 상황, 자연재해 등에서 사용할..

기초 수어 2025.07.11

카페·음식점에서 자주 쓰는 수어 표현 : 주문 요청, 메뉴 설명, 결제 방식, 포장 여부까지

카페, 음식점, 패스트푸드 매장은 일상 속에서 가장 자주 찾게 되는 공간 중 하나입니다. 음료를 마시러 가거나 친구와 식사를 하거나 가족과 외출 중 간단한 간식을 사 먹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하게 됩니다.하지만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에게 이 공간은 주문부터 결제까지 모든 과정이 말로 진행되는 고도로 음성 중심적인 환경입니다.직원의 “드시고 가세요? 포장하세요?”, “사이즈는 어떻게 하시겠어요?”, “메뉴 고르셨어요?” 같은 질문은 매우 빠르게 전달되고, 주변이 시끄러운 경우 말소리나 입모양을 알아보기 어렵습니다.또한 키오스크로 대체된 주문 시스템도 시각 정보가 부족하거나 화면 구성이 복잡하면 수어 사용자에게는 또 다른 장벽이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카페, 음식점,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실제 자주 발생..

기초 수어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