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공간인 영화관, 공연장, 연극 무대는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감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콘텐츠가 음성 중심의 전달 구조를 가지고 있고, 시각 정보가 제한되어 있는 탓에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에게는 정보 단절과 몰입 저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좌석 배치, 상영 시간, 관람 에티켓, 부대 시설 안내 등이 음성 안내에 의존될 경우 관람객은 스스로의 위치와 흐름을 파악하지 못해 불편을 겪게 됩니다.문화 감상은 단순한 여가가 아닌 사회적 참여의 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수어 사용자도 영화나 공연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안내받고, 원하는 것을 요청하며 다른 관객들과 마찬가지로 문화 향유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언어적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수어 표현을 통해 예매·입장·관람·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