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3

영화관·공연장·연극 관람 시 필요한 수어 표현 : 좌석 문의, 티켓 수령, 관람 중 요청, 인터미션 안내까지

문화 공간인 영화관, 공연장, 연극 무대는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감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콘텐츠가 음성 중심의 전달 구조를 가지고 있고, 시각 정보가 제한되어 있는 탓에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에게는 정보 단절과 몰입 저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좌석 배치, 상영 시간, 관람 에티켓, 부대 시설 안내 등이 음성 안내에 의존될 경우 관람객은 스스로의 위치와 흐름을 파악하지 못해 불편을 겪게 됩니다.문화 감상은 단순한 여가가 아닌 사회적 참여의 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수어 사용자도 영화나 공연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안내받고, 원하는 것을 요청하며 다른 관객들과 마찬가지로 문화 향유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언어적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수어 표현을 통해 예매·입장·관람·퇴..

기초 수어 2025.07.12

은행 창구·금융 서비스 상황에서 사용하는 수어 표현 : 입출금, 대출 문의, 본인 인증, 순번 대기까지

은행은 개인의 자산을 관리하고, 각종 거래를 처리하며 법적·행정적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에게도 은행은 매우 필수적인 기관입니다. 하지만 금융기관은 대부분 보안상 전화나 대면 중심의 상담을 기본으로 운영되며 이 과정에서 말소리에 의존하는 안내가 많기 때문에 수어 사용자에게는 진입 장벽이 존재합니다. 실제로 많은 수어 사용자들이 창구에서 “이해하지 못한 채 서명했다”, “설명이 부족해서 손해를 봤다”는 경험을 토로합니다.금융 서비스는 신중한 판단과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고객이 본인의 요구를 명확히 표현하고 이해한 후 의사결정을 해야 합니다. 수어 표현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말할 수 있어야만 금융기관에서도 수어 사용자가 동등한 금융 소비자로서 권..

기초 수어 2025.07.12

복잡한 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어 표현 : 진열대 문의, 계산대 응대, 시식 요청, 유통기한 확인까지

마트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방문하게 되는 소비 공간 중 하나입니다. 신선식품, 가공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한 번에 구입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에게도 매우 필수적인 공간입니다. 그러나 대형마트나 창고형 할인매장처럼 규모가 크고 구조가 복잡한 공간에서는 정보 전달이 대부분 음성 안내나 방송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어 사용자에게는 접근성의 장벽이 생길 수 있습니다.마트에서는 단순히 물건을 고르는 것을 넘어서 진열 위치를 찾거나 유통기한을 확인하거나, 시식 제품의 정보를 물어보거나 제품의 사용법이나 성분을 문의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매장 직원과의 말 중심 대화가 어렵다면 소비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상품을 선택하거나 잘못 구매하게 되는 일..

기초 수어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