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3

반려동물 관련 공간에서 사용하는 실전 수어 표현 : 사회성 설명, 돌발 행동 예방, 훈련 설명, 공존 요청 중심

수어 사용자가 반려동물과 외부 공간을 함께 이용할 때, 가장 자주 마주치는 어려움은 사람과 동물 모두에 대한 설명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동물은 말을 하지 못하고, 수어 사용자는 소리로 말을 하지 못합니다. 이때 보호자는 수어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동물의 상태, 두 존재 간 관계의 맥락까지 함께 표현해야 합니다. 단순히 “얘가 아파요”라고 말하는 상황이 아니라 “지금 너무 흥분해서 누가 만지면 안 돼요”, “이 친구는 다른 강아지보다 사람을 더 좋아해요”, “이 강아지는 눈치를 보면서 다가가요”처럼 미묘한 감정 흐름, 거리감, 사회적 상호작용을 설명해야 안전한 상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진료·결제 중심의 병원 환경이 아닌 동물과 사람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공간에서 필요한 수어 표현들..

기초 수어 2025.07.13

미용실·네일샵·피부관리실에서 자주 쓰는 수어 표현 : 대화 유도, 시술 과정 중 감각 전달, 피드백 표현까지

미용실, 네일샵, 피부관리실은 대화와 감각 표현이 많은 공간입니다. 수어 사용자에게 이 공간이 특별히 어려운 이유는 시술자가 작업 중일 때 직접 시선을 맞추기 어렵고, 말소리를 듣지 못한 채 표정과 손의 움직임만으로 대화 흐름을 유추해야 하는 환경이기 때문입니다.또한 미용 서비스는 고객의 스타일을 재현하는 것뿐 아니라 정적인 상태에서 오래 기다리는 내내 불편하거나 예상과 다른 과정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시술자는 "괜찮으세요?", "너무 뜨겁진 않으세요?" 같은 확인을 입으로만 빠르게 하거나 손으로 가리키는 방식 외에 별도의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수어 사용자는 직접 “지금 괜찮아요”, “조금 덜 아프게 해 주세요”, “질문이 있어요”..

기초 수어 2025.07.13

헬스장·운동센터에서 사용하는 수어 표현 : 운동 기구 요청, 시간표 확인, 트레이너 요청, 탈의실 이용까지

헬스장과 운동센터는 신체 건강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방문하는 생활 공간입니다. 하지만 이 공간은 동시에 기구의 사용법, 운동 프로그램 설명, 안전 지침 등 대부분의 안내가 말로만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음악 소리나 기계 소음이 섞인 환경에서 직원과 고객 간의 소통이 주로 구두로 이루어질 경우 청각장애인이나 수어 사용자에게는 위험하거나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트레이너가 운동기구 사용법을 설명할 때 말소리만으로 설명이 진행되거나 그룹 수업 시간표가 오디오 방송으로만 안내되는 경우 수어 사용자는 정보를 놓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기구 고장, 탈의실 이용, 락커 키 분실 등 긴급하거나 예외적인 상황에서 자신이 원하는 요청을 말할 수 없다면 오히려 다치거나 곤란해지는 ..

기초 수어 202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