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2

택배·우편 배송 상황에서 사용하는 수어 표현 : 주소 확인, 수령 응대, 파손 설명, 부재 대응, 반품 요청까지

택배와 우편은 수어 사용자에게도 매우 일상적인 생활 서비스입니다. 그러나 비대면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는 배송 시스템에서 수어 사용자는 소통이 더욱 어렵고, 배송 중 문제가 생겨도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거나 요청을 전달하기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택배 기사나 우체국 직원은 상대방이 청각장애인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 짧은 음성 안내만 하고 지나가며 문 앞에서 “이거 맞으세요?”, “여기 놓을까요?” 같은 말을 건넸다가 대답이 없으면 일방적으로 물건을 두고 가거나 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곤 합니다. 이 과정에서 수어 사용자는 응답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물건을 놓치거나 반품 절차가 복잡해지는 불이익을 겪을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택배 및 우편 서비스 이용 중 자주 겪는 상황들을 기준으로 수어 사용자 입장에..

기초 수어 2025.07.14

아르바이트 면접과 근무 중 사용하는 수어 표현 : 지원 동기 설명, 직무 요청, 협업 조율, 실수 대응, 퇴근 상황까지

수어 사용자가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 가장 먼저 마주치는 장벽은 면접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입니다.대부분의 사업장은 면접 과정에서 전화 통화를 요구하거나 짧은 대면 대화로 지원자의 언어 능력을 판단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수어 사용자는 능력과 무관하게 ‘말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채용 기회 자체를 박탈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면접은 말소리보다 의지를 표현하고 협업 가능성을 설명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이때 수어 표현은 “수어를 사용해요”, “일을 직접 해볼 수 있어요”, “필요한 부분은 글로 설명해 주세요”, “질문 있으시면 메모로 해주세요”처럼 면접관의 접근 방식을 바꾸게 하는 실용적 제안 언어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지원 동기를 표현할 때는 “여기에 계속 관심이 있었어요”, “전에 비슷한 일을 해봤어요..

기초 수어 2025.07.14